1. SKC
- 기술 개요: SKC는 CES 2025에서 반도체용 유리기판을 공개하며, 고성능 반도체 패키징 시장을 선도할 기술력을 선보였습니다.
- 주요 특징:
- 데이터 처리 속도 40% 향상
- 전력 소비 및 기판 두께 50% 이상 감소
- 미세 회로 구현으로 고밀도 패키징 가능
- 공장 현황: 미국 조지아주에 유리기판 양산 공장 준공
- 정부 지원: 미국 정부로부터 1억 7500만 달러 지원 확보
- 기대 효과: AI 반도체 및 데이터센터의 효율성 극대화
2. 앱솔릭스(Absolics)
- 관계: SKC의 투자사이자 협력사
- 기술 발표: ‘AI 반도체를 위한 최첨단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주제로 CES에서 발표
- 주요 역할: 유리기판 기술의 상업화와 글로벌 시장 확대 주도
3. HB테크놀러지
- 관련성: SKC의 유리기판 기술 확장과 관련된 파트너 기업
- 기술 역할: 유리기판 공정 및 검사 장비 공급
4. 와이씨켐(YCChem)
- 관련성: 유리기판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화학 소재 공급사
- 주요 역할: 유리기판 제조에 필요한 고순도 화학 소재 개발 및 공급
5. 코닝(Corning)
- 기술 강점: 초박형, 고강도 유리기판 ‘Gorilla Glass’로 유명
- 주요 적용 분야: 디스플레이 및 스마트 기기용 유리기판
6. 쇼트(SCHOTT)
- 기술 강점: 독일의 고정밀 광학 유리 기술 보유
- 주요 적용 분야: 정밀 센서 및 반도체용 유리기판
7. AGC(Asahi Glass Co.)
- 기술 강점: 산업 및 디스플레이용 유리기판 전문 제조사
- 주요 적용 분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공정
CES 2025 유리기판 기술 트렌드
- AI 및 데이터센터 최적화: 데이터 처리 속도 향상 및 전력 소비 절감
- 소형화 및 경량화: 기기 설계 유연성 증대
- 미세회로 기술: 더 높은 집적도 구현
- 글로벌 투자 확대: 미국을 중심으로 유리기판 생산 인프라 강화
- 친환경 솔루션: 탄소 배출 절감 및 지속 가능한 생산 기술 도입
- 다양한 산업 응용: 웨어러블, 센서, 자동차 반도체 등
종합 정리
SKC가 CES 2025에서 유리기판 기술을 선보이며 AI 반도체 시대의 핵심 솔루션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앱솔릭스, HB테크놀러지, 와이씨켐 등의 협력사와 함께 기술 완성도를 높이고 있으며, 코닝, 쇼트, AGC와 같은 글로벌 기업도 유리기판 시장에서 활발히 경쟁하고 있습니다.
유리기판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산업의 게임체인저로 주목받고 있으며, CES 2025를 통해 기술 혁신과 시장 확대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향후 유리기판은 AI, 데이터센터, 웨어러블 기기, 자율주행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소재로 사용될 것입니다. 이 기술은 미래 첨단 산업을 이끄는 중심축이 될 것입니다.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한국 기업들이 주로 논의하는 주제 (3) | 2025.01.09 |
---|---|
2025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 참여기업 (2) | 2025.01.09 |
유리기판이란? (1) | 2025.01.08 |
CES 2025 : 액침냉각 (2) | 2025.01.07 |
액침냉각이란? (1) | 2025.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