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당순이익(EPS)이란?
주당순이익(Earnings Per Share, EPS)은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을 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한 주당 얼마나 많은 이익을 창출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EPS는 투자자들이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척도이며, 주가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어 주식 투자에서 필수적으로 분석해야 하는 요소입니다.
2. EPS의 계산 방법
EPS를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EPS = (순이익 - 우선주 배당금) ÷ 발행주식 수
- 순이익(Net Income): 기업이 일정 기간 동안 벌어들인 총 이익
- 우선주 배당금(Preferred Dividends): 우선주 보유자에게 지급되는 배당금
- 발행주식 수(Shares Outstanding):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보통주 수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의 연간 순이익이 1,000억 원이고, 우선주 배당금이 100억 원, 그리고 발행주식 수가 5000만 주라면 EPS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EPS = (1,000억 - 100억) ÷ 5000만 = 18원
3. EPS의 유형
① 기본 EPS (Basic EPS)
기본 EPS는 위에서 설명한 공식대로 계산된 EPS로, 회사의 순이익을 발행주식 수로 단순히 나눈 값입니다.
② 희석 EPS (Diluted EPS)
희석 EPS는 전환사채, 신주인수권, 스톡옵션 등이 행사될 가능성을 고려하여 계산된 EPS로, 미래에 추가적으로 발행될 가능성이 있는 주식을 포함해 보다 보수적으로 산출한 수치입니다.
4. EPS가 주식 투자에 미치는 영향
① EPS가 높은 기업 vs 낮은 기업
- EPS가 높을수록 기업이 수익성이 좋고, 투자 가치가 높을 가능성이 큽니다.
- EPS가 낮거나 마이너스(-)일 경우, 기업이 적자를 보고 있거나 이익 창출 능력이 떨어진다는 의미입니다.
② 주가와의 관계
EPS는 주가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EPS가 증가하면 주가도 상승할 가능성이 큽니다. 투자자들은 EPS 증가율을 분석하여 기업의 성장성을 평가합니다.
③ PER(주가수익비율)과의 관계
EPS는 PER(Price to Earnings Ratio) 계산에 활용됩니다.
PER = 주가 ÷ EPS
PER이 낮으면 해당 기업의 주식이 저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반대로 높으면 고평가된 상태일 수 있습니다.
5. EPS를 활용한 투자 전략
① 지속적으로 EPS가 증가하는 기업에 투자
EPS가 매년 증가하는 기업은 꾸준한 성장을 이어가는 기업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장기 투자에 적합한 종목을 찾을 때 유용한 지표가 됩니다.
② 경쟁사와 비교하여 EPS 분석
동일 업종 내 다른 기업들과 EPS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어떤 기업이 더 수익성이 좋은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③ EPS 전망치 확인
과거의 EPS뿐만 아니라 증권사나 애널리스트들이 예측한 EPS 전망치를 참고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6. EPS 분석 시 주의할 점
EPS는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지만, 몇 가지 한계가 있습니다.
- 기업의 회계 조작 가능성: 일부 기업은 EPS를 인위적으로 높이기 위해 회계를 조작할 수도 있습니다.
- 일시적인 이익 증가: 일회성 이익으로 인해 EPS가 갑자기 증가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지속적인 성장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산업별 차이 고려: 같은 EPS라도 업종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같은 산업 내에서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 결론
EPS는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투자자들이 주식을 평가할 때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요소입니다. EPS가 꾸준히 증가하는 기업은 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고, 주가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EPS 수치만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기보다는 다른 재무 지표(PER, ROE 등)와 함께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